김수배
김수배(1927~2006)
날뫼북춤의 예능보유자 제1호
김수배는 비산농악뿐 아니라 비산농악을 모체로 하는 비산동 천왕메기와 날뫼북춤을
개발하여 오늘까지 존속하도록 하였다.
김수배(1927~2006)
김수배는 1927년 7월 25일 경상북도 청도군 각북면 오리동에서 평범한 농부의 8남매 중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그의 부친은
김현주이며, 모친은 충주 석씨 가문으로 이름은 두내이다. 김수배의 고향은 대구광역시와 청도군의 경계지점인 비슬산 아래의
전형적인 시골이었다.
김수배가 열아홉 살이 되던 1945년 12월 28일, 그의 가족은 고향 청도의 시골
마을을 떠나서 대도시인 대구로 이사하여 달성공원 옆 비산동에 새 보금자리를 마련했다. 김수배는 이 동네 농악대인 비산농악대에
발을 들여 놓게 되었다. 당시 비산동의 농악대에는 키가 훤칠하고 인물이 출중한 분이 북을 쳤는데 그 분이 바로 김수배의 북
선생이었던 임문구였다. 6·25전쟁 후 임문구와 김수배는 해체된 농악을 재건하기 위하여 노력했다.
김수배는
남아있는 풍물꾼들과 함께 동네마다 돌아다니면서 사람들을 모았다. 그리하여 1953년 10월 20일 저녁 비산농악단을 재창단하는
첫 모임을 임문구의 집에서 가졌다. 모인 사람들은 스무 명 정도였으며, 계의 명칭은 종전의 이름대로 대구 비산농악으로
정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