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구의 변화·발전된 모습을 소개합니다.
- 사진을 다운로드하여 상업적 용도 및 다른 목적의 용도로 활용하시면 안됩니다.
[작품 No.2] 이현공원, 예술 숲 피다
서구 달성토성의 정보를 나타낸 표
담당부서 |
문화홍보과 |
문의처 |
053-663-2181 |
위치 |
대구 서구 이현동 산119 |
- 2020년 문화뉴딜사업으로 진행된 공공미술 프로젝트 「이현공원, 예술 술 피다」의 조각작품
- 작품 ① ② : 결실 Ⅰ, Ⅱ / 김기용 作 / 스테인리스 스틸
- 사과는 대구를 대표하는 과일이었기에 대구의 역사이기도 하 다. 대구사람들의 정서에 깊이 자리하는 사과에 대한 향수는 결실과도 같 은 의미를 가진다. 결실은 삶의 목적과도 같은 의미이며 벤치에 앉아 사과 의 향수를 느끼며 삶을 돌아보고 아름다운 결실을 가졌으면 좋겠다.
- 작품 ③ : 흔적(Trace) / 정득용 作 / 자연석, 유기그릇
- 우리나라 전통 유기그릇과 자연석을 접목하여 공원 벤치로 설치 하였다. 천년이 넘는 시간 동안 유기그릇에 소중한 음식을 담아 사용하던 조상들의 지혜를 자연석에서 나오는 풍요로움과 연결하여 정신과 기능이 조화된 공원 벤치의 역할을 유도한다.
- 작품 ④ : Art Stage / 박용화 作 / 콘크리트, 철
- 현대 도시를 상징하는 콘크리트와 철을 활용한 무대를 제작하였 다. 이 재질은 자연과 사람들의 손길로 점점 색이 변하고 자연이 덧입혀질 것으로 기대하며, 공원의 중심에서 예술과 사람을 자연스럽게 호흡하는 공 간으로 기대해본다.
- 작품 ⑤ : Fantasiless / 장준석 作 / 스테인리스 스틸
- 한글 ‘꽃’은 복제될 수 있는 인공의 꽃으로 모듈화되어 질서정 연하게 반복된다. 기호화된 ‘꽃’과 우리의 관습적 이미지의 간극은 우리로 하여금 상투적인 꽃의 이미지에 거리를 두게 하면서 오히려 저마다의 자 유로운 환상의 세계로 그 개념을 확장시킨다.
- 작품 ⑥ : 토성매트릭스 - 나를 찾는 여행 / 소미다미 作 / 철, 아크릴거울, 나무
- 토성매트릭스는 2000년의 시간을 간직한 대구 달성토성의 모양 을 모티브로 하여 형상화한 시민 참여형 조형물로 대구의 역사와 정신의 뿌리를 간직한 그곳으로 들어가 나를 찾는 시간여행을 잠시 떠나본다.
- 작품 ⑦ : 숲에서 만난 고양이 / 이민주 作 / 화강석
- 코로나19는 우리의 삶을 다시 한 번 되돌아보게 만드는 계기가 되었다. 우리와 더불어 함께 사는 작은 생명의 상징적인 고양이 모양의 아 트벤치는 겸손한 마음으로 삶을 소중히 여기는 의미를 담고자 한다.
- 작품 ⑧ : Face Maker / 강건 作 / 화강석
- 우리는 어떻게 연결되는가. 나를 소개하기 위해선 당신이 필요 하다. 당신은 나의 시선으로 존재하게 된다. 이 끝을 알 수 없는 인간관계 의 고리이자 사회적 정체성에 대하여 질문하는 현대인의 자화상을 표현한다.
총 126 건
-
내당권역 구립도서관
-
New평리도서관
-
비원뮤직홀
-
비산초등학교 담장경관개선사업
-
[BTS] 뷔 벽화 거리
-
[작품 No.3] 이현공원, 예술 숲 피다
-
[작품 No.2] 이현공원, 예술 숲 피다
-
[작품 No.1] 이현공원, 예술 숲 피다